datetime.date는 연, 월, 일로 날짜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import datetime
>>> day1 = datetime.date(2021, 12, 14)
>>> day2 = datetime.date(2023, 4, 5)
날짜 객체를 만들었다면 두 날짜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뺄셈으로 쉽게 구할 수 있다.
>>> diff = day2 - day1
>>> diff.days
477
day2에서 day1을 빼면 datetime 모듈의 timedelta 객체가 리턴된다. 이 객체를 diff 변수에 대입하고 이 diff 변수를 이용하여 두 날짜의 차이를 쉽게 확인해 봤다.
요일은 datetime.date 객체의 weekday 함수를 사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
>>> day = datetime.date(2021, 12, 14)
>>> day.weekday()
1
0은 월요일을 의미하며 순서대로 1은 화요일, 2는 수요일, …, 6은 일요일이 된다. 이와 달리 월요일은 1, 화요일은 2, …, 일요일은 7을 리턴하려면 다음처럼 isoweekday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 day.isoweekday()
2
2021년 12월 14일은 화요일이므로 isoweekday()를 사용하면 화요일을 뜻하는 2가 리턴된다. weekday()를 사용하면 1이 리턴된다.
시간과 관련된 time 모듈에는 함수가 매우 많다.
time.time()은 UTC(universal time coordinated, 협정 세계 표준시)를 사용하여 현재 시간을 실수 형태로 리턴하는 함수이다. 1970년 1월 1일 0시 0분 0초를 기준으로 지난 시간을 초 단위로 리턴해 준다.
>>>import time
>>> time.time()
1684983953.5221913